내 사이트 만들고 수익 창출하기

중국의 저가 공세에 직면한 미국 진출 대기업, 수익률 급락

728x90

중국의 저가 공세에 직면한 미국 진출 대기업, 수익률 급락

글로벌 경기 침체와 중국의 저가 공세로 인해 배터리 및 태양광 국내 기업들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률이 작년과 비교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보조금을 받는 기업 중에서도 마이너스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사례가 다수 확인되었으며, 막대한 투자로 인해 재무구조가 불안정한 상태에서 중국과의 가격경쟁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29일 SK온의 IR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회사의 영업이익률은 -20%로, 지난해 1분기 -10%에서 2배 악화되었다. SK온은 지난해 미국 정부로부터 6170억 원의 보조금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했다. SK온 측은 판가 하락과 판매량 감소를 영업이익률 감소의 원인으로 꼽았다.

같은 기간 LG에너지솔루션의 영업이익률도 7.2%에서 2.6%로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IRA 보조금을 고려하지 않은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률은 -0.5%다.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배터리 기업들은 지난해부터 국내 기업들의 생산단가 이하로 배터리셀이나 부품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글로벌 배터리 가격에 디플레이션이 발생했고, SK온과 LG에너지솔루션의 수익성이 악화되었다.

중국 전기차 전문 미디어 CnEVPost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의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 구매 가격은 와트시(Wh)당 0.4위안(약 184.65원)으로, 지난해 6월 CATL의 판매 공시가격인 Wh당 0.8~0.9위안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올여름에는 전기차 배터리 가격이 Wh당 0.32달러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생산단가에서도 중국 기업은 국내 기업보다 20%에서 최대 50%까지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은 중국의 저가 공세에 맞서기 위해 효율성을 높이고, 차별화된 기술 개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728x90